Uncover to Transfer

Julie Stern, (2018). Tools for Teaching Conceptual Understanding.

개념기반탐구수업 및 교육과정

프레이어 모델(Frayer model)의 사용

제넷쌤 2023. 2. 5. 00:09

https://www.linkedin.com/feed/update/urn:li:activity:7027648845153013760/

 

LinkedIn Jina Park 페이지: Novice educator using Frayer Model in classroom :) I have been studying…

Novice educator using Frayer Model in classroom :) I have been studying conceptual learning since last year. These days I am trying to use some tools…

www.linkedin.com

 

요즘 개념 기반 기반 수업에 어떻게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 알려주는 책인 CBIA에서 제안된 몇 가지 도구를 사용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대상 3학년, 과학
개념: 소리의 세기

1. 모둠활동: 먼저 학생들이 소리의 세기를 보여주는 많은 예들을 탐색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알람의 볼륨, 소리지르기, 속삭이기 등

2. 짝활동: 다음으로 짝과 함께 프레이어 모델 학습지를 직접 작성하도록 하였다.



3. 전체활동: 세 번째로, 나와서 칠판에 있는 거대한 프레이어 모델을 채움으로써 우리 교실만의 프레이어 모델을 완성했다.


★ 성찰: 이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나는 학생들이 올바른 개념을 형성하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소리의 세기와 높낮이의 차이에 대해 아직도 혼란스러워하는 학생들이 여럿 보였다. 그래서 도움이 필요한 학습자에게 여분의 자료를 준비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비예시'를 생각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경우 예시들에 대해 탐색할 때 비예시를 함께 준비하고 그것들을 분류하도록 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그 부분은 연구가 더 필요하다.

 


Marshall, C., & French, R. (2021). 개념 기반 탐구학습의 실천: 전이 가능한 이해의 촉진 전략 (신광미, 강현석, 공역). 학지사. (원본출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