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over to Transfer

Julie Stern, (2018). Tools for Teaching Conceptual Understanding.

[일상] My Inquiry as Lifelong Learner 3

230175 방학을 하루 앞두며

그동안 열심히 공부하느라 아이들에게 못 보여줬던 영화를 좀 보여주었더니 오랜만에 마음의 여유를 찾았다. 코로나 때문에 못했던 과자 파티와 함께 영화를 감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이들이 직접 계획한 방학 전날 수업의 참여도와 만족도는 최고봉인 것 같다. 다시금 student-led 교실 문화의 중요성을 느꼈다. 내일은 방학식이고 하니 정리할게 태산이다. 사실 교실 정리는 몇일 전부터 조금씩 하고 있었지만 빠뜨린게 있을까봐 걱정되는 마음은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방학 중 학교에 오고 싶지 않은 마음도 있어서 더 그런 것 같다.ㅋㅋ *** 정말 많은 것을 경험한 한 학기였다. 3월부터, 아니 1월부터 개념기반탐구를 위한 교실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나름대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에 옮기기 위해 노력했다. 스스로 의..

230301 공식적인 학교 일정의 시작

3월 1일은 나의 비공식 출근일이자 공식적인 학사일정의 시작일이다. 매년 우리나라 공립학교들은 삼일절로 학사가 시작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단순히 쉬는 날이라고 생각한다. 3년 교직 생활 동안 나는 삼일절을 잘 보내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계획적이기보다 즉흥적인 성격 때문에 발등에 불이 떨어져야 부랴부랴 수업 준비를 하고 교실 환경을 꾸미는 나로서는 삼일절은 새학기 준비에 잇어 없어서는 안 되는 날이다. 이번 주말까지 교실 환경과 학년 교육과정 계획, 그리고 단원 설계까지 모두 마무리할 계획이다. 다 할 수 있겠지..?ㅇㅅㅇ

<2023학년도 새학기 할 일 목록>

새 학기가 3월 2일에 시작하기 때문에 학기 시작 전에 무엇을 할지 계획을 세워보았다. 1. '제3의 공간' 만들기 작년에 학생 4~5명이 둘러앉을 수 있는 작은 돗자리를 놓았는데, 학생들이 매우 좋아했었다. 올해도 제3의 공간을 만들어서(구입이 가능하다면 빈백도 놓고) 학습자들이 소통하고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려고 한다. 2. ATL 포스터 올해는 학생들에게 ATL 기술을 명시적으로 가르칠 계획이다(3월초). 그래서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ATL 포스터를 만들어서 벽에 붙이게 할 예정이다. 포스터를 통해 학습자들은 필요할 때마다 각 ATL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상기할 것으로 기대한다. 3. 우리 교실 "Essential Agreement" 만들기 학습자들의 아이디어(모둠-그룹-전체)를 종합하여 모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