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over to Transfer

Julie Stern, (2018). Tools for Teaching Conceptual Understanding.

개념기반 6

[국어/개념기반] 다수결은 의견을 정하는 최고의 방법일까요?

일반화 문장: 회의는 규칙과 절차에 따라 의견을 모으고 결정하는 과정이다. 1. 네 모퉁이 토론 다수결은 의견을 정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 이 문장에 대하여 '매우 그렇다, 그렇다, 아니다, 매우 아니다'로 자신의 의견 정하기 -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의견에 대한 근거 나누기 2. 다수결의 장점과 단점 비교하기 3. 최종 의견 정하기 대부분의 학생들이 '아니다'로 자신의 의견을 바꾸었다. 아무래도 소수의 의견이 무시될 수 있다는 동정 여론이 형성된 것 같다. 하지만 결국 다수결이 의사결정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편하다는 점에서 이 방법을 채택한다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분위기였다. 다음 시간에는 만장일치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에 아이들이 동의하도록 이끈 다음 4사분면으로 '제비뽑기'와 '다수결' 중 어떤 것..

수업사례공유 2023.06.13

[수학/개념기반] 4 사분면을 통해 곱셈과 나눗셈 문제 구별하여 문제 해결하기

그동안 곱셈과 나눗셈과 같은 사칙연산에서는 문제 풀이를 통한 기능(skill)의 습득이 중요하다고 여겨왔다. 하지만 막상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할 때 곱셈으로 해결할지 나눗셈으로 해결할지 판단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에 따라 기능을 익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산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별해내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4사분면 활동을 통해 아이들이 문제를 맞닿뜨렸을 때 곱셈으로 해결할 것인지, 나눗셈으로 해결할 것인지를 먼저 구별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1. 4사분면 활동을 통한 곱셈 나눗셈 문제 비교, 대조하기 4 quodrants(4 사분면) 활동은 4 개의 케이스를 비교, 대조함으로써 패턴을 발견하여 일반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수업사례공유 2023.06.08

[국어/개념기반] 생각과 느낌을 나누어요

※IBEC 수료중인 대학원생이 non-IB 공립학교에서 실천 및 적용한 사례입니다. 단원 1. 생각과 느낌을 나누어요 개념 생각과 느낌, 표현 일반화 문장 생각과 느낌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마음을 상대에게 전할 수 있다. 질문 생각과 느낌은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학생들은 선행학습을 통해 이미 생각과 느낌, 의견 등의 개념을 나름 확립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단원에서 개념에 집중하는 단계보다는 여러 가지 표현방법을 떠올리고 경험하도록 하여 표현의 장점을 느껴보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생각과 느낌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했을 때의 장점을 정리해봄으로써 일반화문장을 만들어보도록 하였다. 1. 시를 읽고 생각이나 느낌을 글로 표현..

수업사례공유 2023.03.19

프레이어 모델(Frayer model)의 사용

https://www.linkedin.com/feed/update/urn:li:activity:7027648845153013760/ LinkedIn Jina Park 페이지: Novice educator using Frayer Model in classroom :) I have been studying… Novice educator using Frayer Model in classroom :) I have been studying conceptual learning since last year. These days I am trying to use some tools… www.linkedin.com 요즘 개념 기반 기반 수업에 어떻게 더 가까워질 수 있는지 알려주는 책인 CBIA에서 제안된 몇 가지 도구..

[초2/단원설계사례] People can use simple machines to make movement easily and effectively.

대상: Grade 2 기간: 2 개월(8주) 초학문적 주제: How the World Works Generalization 주요 일반화 People can use simple machines to make movement easily and effectively. Key Concepts 주요 개념 Form, change Questions How do things move? What is movement? How does simple machine make things move? How can we use simple machines to solve daily problems? Engagement 관계 맺기 "How do things move?" - 교실 환경과 학교 주변 환경을 돌아보며 'move'하고 ..

[초4/단원설계사례]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존중과 개방된 마음을 지닐 수 있다.

2022-2023 겨울방학 특강 Grade 4 학생들이 Global Mind를 지닐 수 있도록 개념 기반의 프로젝트형 수업을 개설해보았다.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일반화 문장은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존중과 개방된 마음을 지닐 수 있다' 이다. 15차시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탐구 사이클(inquiry cycle)을 여러 번 돌리지는 못하지만 일반화에 도달하는 데 충분한 resource 를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Engage 단계 '다른 문화에 대해서 꼭 배워야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토론해봄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고 사전지식을 활성화한다. Focus 단계 '문화'와 '존중'이라는 개념에 집중하여 탐구해보는 시간을 가진다. Investigate & Organize 단계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