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개정교육과정은 2024학년도부터 초등 1,2학년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며 2026학년도에는 초등 전학년에 적용된다.
1. 성취기준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개념어로 대체됨
변경 전: [4사 01-01] 우리 마을 또는 고장의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보고,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고장에 대한 서로 다른 장소감을 탐색한다. | 변경 후: [4사01–01] 주변 여러 장소에서의 경험과 느낌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장소감을 나누며 서로 존중하는 태도를 지닌다. |
변경 전: [4사01-02] 디지털 영상 지도 등을 활용하여 주요 지형지물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백지도에 다시 배치하는 활동을 통하여 마을 또는 고장의 실제 모습을 익힌다.] |
변경 후: [4사01–02] 주변의 여러 장소를 살펴보고, 우리가 사는 곳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방안을 탐색한다. |
교육부, 2022. [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학습 활동에 들어갈만한 구체적인 내용은 성취기준에서 많이 제외되었다.
2. 과목별 모델 제안
과목의 영역과 핵심역량이 상호 연관되어있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모델이 제시되었다.
결론
이번에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 IB 프레임워크의 영향으로 개념 기반 교육과정의 이론이 반영되고 교육과정 기술 방법이 바뀌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IB 관련 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signing a Concept-Based Curriculum for English Language Arts 의 문장 모음 (Chapter 6) (0) | 2023.06.11 |
---|---|
[서적] 학생주도성 요약 정리 (5, 6장) (0) | 2023.03.11 |
변역기 Deepl 소개 (0) | 2023.02.23 |
[서적] 학생주도성 요약 정리 (3, 4장) (1) | 2023.02.04 |
[서적] 학생주도성 요약 정리 (1, 2장) (0) | 2023.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