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학생 주도성이란 무엇인가?
"교육의 장에서 학생 주도성에 대한 공동의 이해와 실행을 가로막는 두 가지 장애물"
1. 시험 기반의 학교 책무성: 주입식 교육의 원인
2. 교사가 학생 주도성이 무엇인지 잘 모름
주도성의 세 가지 차원(dimension): 성향적(dispositional), 동기적(motivational), 위치적 차원(positional)
이 세 가지 차원은 상호연관되어 있고, 교사는 이 세 가지 차원을 알아차리는 주의 깊은 성찰관 능력이 필요하다.
교사들은 구체적인 실천 사항들을 구조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장. 학생 주도성의 성향적 차원
A. 목적
목적은 개인적인 의미로 연결된다.
목적은 아이디어 실행의 나침반이 되어 완성을 향한 학생들의 행로를 가이드한다.
예: 알뜰시장
학생들은 알뜰 시장에 참여하여 물건을 사고 팔겠다는 명확한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다양한 과제들을 수행했다. 가령 사고 팔기를 원하는 물건 목록 만들기, 가격 책정하기, 간판 만들기 등이 있다.
이처럼 학생들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프로젝트를 지속시키는 힘을 발휘하였고, 목적을 충족할 수 있는 행동을 정렬해나갔다.
"학교는 종종 학생을 무기력한 존재로 간주하여 학생의 목적에 대한 감각을 지원하는 기회를 놓치곤 한다."
그러므로 학교 전반과 교실 구조 및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예: 학습자들이 알뜰시장에 관한 이것저것 추가적인 의견을 내놓았지만 뒤에 밀린 진도를 생각하여 수업 시간에 반영하지 못하였다.
B. 지향성(intentionality): 학습에 대한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가지려는 학생들의 의지
예: 연극을 한다고 했을 떄 소품 준비하기, 몸짓과 말투 연습하기, 모둠 친구들과 호흡 맞추기 등 목적 달성에 필요한 많은 항목들을 만들고 해내고자 하는 것이 지향성이다. 배움에 대한 확고한 의지나 욕구인 것이다.
지향성과 자기결정
지향을 토대로 자신의 행동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자기 결정이다.
자기 결정은 학생의 행위 맥락에서 선택과 결정을 할 수 있는 개인의 경향성에 초점을 둔다.
예: 연극 활동에서 역할을 정할 때 자신이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를 두루 따진 후에 역할을 정함.
SDT 학자 디씨와 라이언의 기본심리욕구이론: 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적이고 감정적인 지지의 중요성
세 가지 심리 욕구(유능감, 관계성, 자율성)가 자기결정 하는 데 필요하다.
자기주도적 상징화와 즉흥
학생은 자기주도적 상징화(self-directed symbolization)와 즉흥(improvisation) 두 가지를 통해 목적과 지향성이 조화를 이루며 작동하도록 한다.
자기주도적 상징화: 시각적 표현물, 대화
즉흥: ~가 하고 싶어져서 하는 것
교사는 유연하게 교육과정 및 학습(교실) 공간을 구조화하고 운영함으로써 학생의 자기주도적 상징화, 즉흥을 지원하여 학생들이 유연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이끌어줘야 함.
핵심은 점차 스캐폴딩을 줄여가며 결국엔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책임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
예: 게임과 놀이를 통한 수업
참고문헌: Margaret Vaughn (2023). 교사와 함께 성장하는 학생 주도성: 자기주도적 학습을 넘어 학생 행위주체성으로(김영민, 최진, 박소영, 최윤성, 역). 학지사. (원본출판 2021)
'IB 관련 문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역기 Deepl 소개 (0) | 2023.02.23 |
---|---|
[서적] 학생주도성 요약 정리 (3, 4장) (1) | 2023.02.04 |
[서적] 교사와 함께 성장하는 학생주도성 요약 정리(1부 이전/서문) (0) | 2023.02.03 |
[서적] 개념 기반 수학(Jennifer W, 2016) 1장 요약 (0) | 2023.02.01 |
[도서리뷰]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3 p.298-324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