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over to Transfer

Julie Stern, (2018). Tools for Teach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B 관련 문헌

[도서리뷰]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3 p.298-324

제넷쌤 2022. 12. 30. 22:49

https://cafe.naver.com/ibpyp/689

 

[도서리뷰]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3, IB 관련 부분

대한민국 모임의 시작, 네이버 카페

cafe.naver.com

 

 

최종홍. (2022). 뜨거운 감자 IB, 대안인가 유행인가? 교육트렌드2023 집필팀,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2023(pp. 298-324). 에듀니티.

 


 

책에서 강조하는 점 3가지

1. 왜 IB를 공교육에 도입하고자 하는가?

"2022년 6월 교육감 선거에서 4명의 교육감이 IB 학교 도입을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다."

 

혁신학교, 신선함이 사라지고 문제점이 거론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육 아젠다로 IB 도입이 등장!

 

IB 와 국가교육과정(2015개정)은 핵심역량 함양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음에 주목,

IB의 평가제도(서·논술형 평가)로 현재 우리나라 평가시스템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IB 도입의 궁극적인 목적은 수능에 집중된 대학 입시 체계 개선이다.
 
IB도입 1순위는 '교원 양성'…"올해 상반기 MOU 체결할 것" - 미디어제주 2019.4.24.
 

미디어제주

인터넷신문

www.mediajeju.com

 

2. IB 학교 공교육 도입의 주요 쟁점

# 수업 개선에서의 효과성이 있는가?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좀더 연구가 필요함

 

# 교육과정 운영 한계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는가?

IB는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명확하기 때문에 교사 간 수업의 질적 차이를 줄일 수 있음

 

# 공립학교 IBDP 소수 엘리트 교육 아닌가?

IB는 최종 교육과정 이수 난이도가 높으며

IB 학교에 다니는 소수 희망 학생들을 위한 교육인 것은 사실임

 

# 고비용 인증 비용 발생 문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

매년 약 1천여만원의 로얄티(연회비) 발생에 교사연수/워크숍비용(1인당 75~80만원), 학생평가비용, 수험료(DP) 등

외국 교육과정에 이렇게까지 비용을 들이는게 옳은것인가?

 

# 과중한 업무, 교사 부족 등으로 현실성 부족하지는 않는가?

교사의 "열정페이 문제", 현실적 지원이 시급함

 

3. 공교육 IB의 과제

# 국민적 공론화 과정이 필요

# 정책의 일관성 유지 노력

# 서·논술형 평가 공정성 확보를 위한 유능한 교원 양성

# 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와 학교 서열화 극복 방안 마련


 

책에서 인상 깊은 점 2가지

1. 평가의 공정성 문제의 극복

IB의 생각을 꺼내는 수업, 평가 방법 등이 우수한 것은 인정하지만 결국 학부모와 학생이 두려워하는 것은 서·논술형 평가의 공정성 문제이다.

그리고 서·논술형 평가를 못 믿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채점관(교직원)에 대한 불신이다.

 

그러므로 IB 도입과는 별개로

전국 교대, 사범대에서 서·논술형 평가 문항 작성과 객관적인 채점 역량을 갖춘 교원을 양성한다면

대입 체제 개편 또한 가능할 것!

 

그런데 이미 IB는 지난 50년간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증명해왔기 때문에 공교육에서 IB 도입은 아주 매력적인 제안으로 보인다.

 

2. 교육 투자의 중요성

미국의 IB 사립 및 공립학교 사례가 우리나라 공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결국 공교육에서 더 많은 교육 투자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우수한 시설 및 환경의 조성,

다양한 해외 체험 프로그램,

개별화 교육을 위한 우수한 인프라,

교사의 교사 양성 등

국가, 교육청 차원에서 더 많은 준비와 지원이 필요하다.


 

책을 읽고 궁금한 점 1가지

1. 아공과 같은 교사커뮤니티가 공교육 IB 도입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요?